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독립운동가 3,700명 찾아낸 '인천대 독립운동사연구소'

기사승인 2022.08.15  08:35:04

공유
default_news_ad2
인천대 독립운동사연구소 이태룡(오른쪽) 소장과 강효숙 박사가 지난달 10일 최근 일본 아시아역사자료센터 측이 공개한 노응규 의병장의 친필 상소문으로 추정되는 자료를 들고 있다. [사진제공=인천대 독립운동사연구소]

(인천=포커스데일리) "3년 3개월간 찾아낸 독립운동가만 3,700명이고, 이 중 352명이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았다"

제77주년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이태룡 인천대 인천학연구원 독립운동사연구소장이 한 얘기다. 학계를 중심으로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했다가 숨진 순국선열은 대략 15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1949년부터 올해까지 국가보훈처가 포상한 독립유공자는 1만7,285명. 올해 광복절 포상이 확정된 도산 안창호 선생 장녀 안수산 여사 등 303명을 포함해도 1만7,588명이다.

국가가 공식적으로 찾아낸 독립운동가가 추정치의 11%에 불과한 상황에서 독립운동사연구소(연구소) 활동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소장과 강효숙 박사 등 6명의 여구원이 지난 2019년 5월부터 찾아낸 독립운동가는 모두 3,700여 명으로, 국가보훈처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충북대 산학협력단·대한민국 역사문화원·경북 독립운동기념관 등 외부단체와 5년간 확인한 수치(2,496명)를 훌쩍 뛰어넘는다.

숨은 독립운동가를 찾아내고 있는 연구소의 성과는 갈수록 빛을 발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광복회 서울시지부 의뢰를 받아 서울 출신 3·1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한 학생 61명을 찾아냈다. 최근에는 강화도 등지에서 일본군 군함에 맞선 김용기와 연해주에서 독립단을 이끈 최재형 등 의병장들의 행적을 기록한 '일제침략기 의병장 73인의 기록'도 펴냈다.

다만 연구소 입장에서도 아쉬운 점은 있다. 이 소장은 "일제시대 당시 판결문 등을 조사해 어렵게 찾아낸 독립운동가 상당수가 보훈처 포상 심사에서 보류 결정이 이뤄져 안타깝다"면서 "독립운동 후 친일 행위를 하거나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한 경우가 아니라 광복 이후 행적이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결정이 보류되는 점은 개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최봉혁 기자 fdn7500@ifocus.kr

<저작권자 © 포커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3
default_nd_ad5
ad41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default_news_ad4
default_nd_ad3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최신기사

ad38

인기기사

ad39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3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